벗이 잘되면 함께 기뻐한다
송백후조(松柏後凋)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소나무와 잣나무는 친구로 둘 다 상록수인데,
소나무는 잎이 두개 묶여서 나고
잣나무는 잎이 다섯개 묶여서 나며
열매를 보면
두 나무의 차이를 확실히 알 수 있다.
송백과 비슷한 말이 지란(芝蘭)으로,
벗들의 맑고 높은 사귐을
지란지교(芝蘭之交)라 한다.
'친구가 잘되는 것은 나의 기쁨이다.'
그런 우정을 말해주는 성어가
바로 송무백열(松茂柏悅)로,
소나무가 무성해지자 잣나무가 기뻐한다니
그 우정이 아름답지 않은가?
송무백열은 중국 진(晉)나라 때
육기(陸機)가 쓴 ‘탄서부(歎逝賦)’에 나오는데, 시는 이렇게 시작된다.
"세월은 하염없이 치달리고 /
계절은 놀랍도록 빨리 돌아오네 /
오호라 인생의 짧음이여 /
누가 능히 오래 살 수 있나 /
시간은 홀연히 다시 오지않고 /
노년은 점차 다가와 저물려 하네”
송무백열의 시 중간쯤에 나온다.
"진실로 소나무가 무성해지면
잣나무가 기뻐하고,
지초가 불에 타면 혜초가 한탄하네."
그대 그런 사람을 가졌는가?” 라는
함석헌 선생의 말을 빌려 묻는다.
나는 소나무와 잣나무 같은
그런 우정을 가졌는가?
나는 막역지우(莫逆之友)가 되도록 노력했는가 또 몇분이나 있는지 되새겨 봅니다...
(박경숙님의 글)